여름철이 시작되고 장마철이 시작되면 전염병 중에 수족구가 유행을 하기도 합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유아,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도 전염되는 병이 수족구입니다.
이르면 4월부터 시작하는데 본격적으로는 6월 ~ 7월 말까지 유행의 절정기입니다.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유하, 학생의 경우에는 등교가 금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족구에 대한 증상, 예방법, 원인, 수족구에 좋은 음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수족구 증상 및 예방 조치 - 증상
말 그대로 손, 발, 입안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는 병입니다.
4세 이하 유아에서 초등학생, 성인에게까지 전염되고 걸릴 수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콕사키바이러스, 엔터로바이러스 감염인데 주로 침이나 배설물을 통해서 감염됩니다.
수족구에 걸린 대상이 만진 물건을 만지면 감염이 쉽게 됩니다.
수족구 증상 및 예방 조치 - 초기조치
수족구는 발견 조기 즉시 격리하고 다른 사람과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빠르게 병원(주로 내과)을 방문하여 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수족구 증상 및 예방 조치 - 시기별 증상
수족구가 발생하면 손, 발, 입안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고 입안에 발생한 수포로 인해 음식을 먹기가 힘들어집니다.
입안 수포는 혀나 볼안쪽, 혀 뒷부분, 입천장, 잇몸, 입술 등 전체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조금만 짜거나, 매운 음식 즉 자극적인 음식은 먹기가 고통스러워집니다.
이럴 때는 부드럽고 차가운 아이스크림이라도 먹이는 게 좋습니다.
수족구 증상 및 예방 조치 - 격리기간
수족구에 걸리면 고열과 무력감, 식욕이 감소하며, 설사나 구토까지 유발하게 됩니다.
무엇보다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유아, 초등학생은 물론 성인까지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격리를 해야 합니다.
유아, 초등학생은 등교를 제한할 수 있는 법정 감염병으로 병원에서 진단서를 떼어 학교에 제출하면 결석처리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병원에서 완치 판정서를 제출해야 하면 재등교가 가능한 점 꼭 기억해 두세요.
격리기간은 최소 7일 정도이며 이때쯤 수포가 터지면서 증상이 회복되는데 수포가 터질 때 바이러스를 전염시킬 수 도 있기 때문에 수포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자가격리를 해 주어야 합니다.
수족구 증상 및 예방 조치 - 치료
수족구 자체의 백신이나 치료방법이 따로 없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낫는 병인데 고열이 심한 경우 해열진통제를 복용하고 입안에 수포로 음식물을 먹기가 곤란한 경우 탈수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수액을 맞기도 합니다.
수족구에 걸렸을 때는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이 좋고 따듯한 것보다 차가운 음식이 더 좋습니다.
차가운 음식도 입안의 수포로 인해 씹을 때 아프면 아이스크림이 효과적입니다.
수족구 증상 및 예방 조치 - 예방
수족구를 예방하려면 외출 후에 흐르는 물에 비누를 사용해 30초 이상 깨끗하게 손을 씻어 주는 게 좋습니다.
만약 기침이 나려고 할 때는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고 휴지가 없을 때는 옷소매로 가리고 해야 합니다.
아이들의 장난감 등은 소독해야 하고 수족구 환자의 옷은 삶아서 세탁해야 합니다.
외출 후, 배변 후, 식사전후에 항상 30초 이상 깨끗한 물로 비누를 이용해서 습관적으로 씻어 주는 게 예방에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