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사신다면 이거 모르면 길에 돈 버리는 겁니다.
경기도민을 위해 대중교통을 얼마나 타던 무제한 환급이 된다는 사실!
어떤 조건이며, 이떻게 신청하면 되는지, 어떻게 활용하면 되는지 알게 되실 겁니다.
경기패스 교통카드 혜택
▶ 무제한 환급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아래 기준 무제한 일정 비율 환급
- 청년(19세~39세 이하까지) 월별 교통비의 30% 환급
- 40세 이상부터 20% 월별 교통비의 환급
-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월별 교통비의 최대 53% 환급
▶ 전국 어디서나 통용
- 시내버스, 광역버스, 지하철, GTX, 신분당선 등 전국 대부분의 대중교통이라면 자신 있게 사용
- (별도 승차권 구입이 필요한 교통수단은 제외입니다)
지원대상
주민등록상 주소기가 19세 이상 경기도민이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K-패스와 The 경기패스의 차이점
K-패스의 이용 횟수 월 15~60회 → The 경기패스 이용횟수 월 15회 이상 무제한
K-패스의 청년(30% 환급) 범위 19~34세 → The 경기패스 청년 범위 19~39세
지원범위
전국 모든 대중교통인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 교통카드로 탑승가능한 모든 대중교통이 해당합니다.
다만, 별도 승차권을 발급받아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아요.
이용방법
1. K-패스 카드 발급
2. 환급은 월별 자동환급 (내가 계산할 필요 없이 자동 계산되어 청구할인, 계좌입금, 마일리지로 적립됩니다)
3. 카드별로 적립방식 (청구할인, 계좌입금, 마일리지)이 달라지니 확인하세요.
(1) 신용카드 : 청구할인
(2) 체크카드 : 계좌 환급
(3) 기타 교통카드 : 마일리지 적립
회원가입 절차
1. 카드사에서 K-패스 카드 신청 및 수령
2.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 (korea-pass.kr) 접속
3. 회원가입 클릭
4.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5~16자리 입력 [유효성체크] 클릭
5.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 진행 (PASS앱 또는 문자인증)
6. 주민등록번호(외국인등록번호) 입력 후 주소지 검증 실시
7. 회원 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
자주 묻는 질문
Q K-패스 카드와는 별개로 The 경기패스 카드 추가 발급받아야 하나요?
A K-패스 가입자 중 주소지가 경기도인 분들은 자동으로 The 경기패스 대상자로 확인되어 추가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Q The 경기패스는 언제부터 쓸 수 있나요?
A The 경기패스는 2024년 5월 1일부터 사용하실 수 있으며, 카드 발급 후 K-패스 홈페이지에 회원가입 및 카드번호 등록해야 합니다.
Q 환급(적립)은 어떤 방식인가요?
A (1) 신용카드 : 청구할인, (2) 체크카드 : 계좌 환급 / 기타 교통카드 : 마일리지 적립
Q 실물카드 또는 모바일 카드를 반드시 K-패스 앱(또는 홈페이지)에 등록해야 하나요?
A 카드를 등록하지 않으면 The 경기패스(K-패스 포함)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Q 사용현황 및 월 적립액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A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저소득층 할인 혜택 적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비대면자격조회 서비스(주민등록번호)로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대상자 여부를 체크하며 실시간으로 적용됩니다.
결론
경기도민을 위한 The 경기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시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 주는 카드입니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무제한으로 교통비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을 수 있어요.
청년은 월별 교통비의 30% 환급, 40세 이상은 20%, 저소득층은 최대 53% 환급이 가능합니다.
The 경기패스는 전국 대부분의 대중교통에서 사용 가능하며, K-패스와 달리 월 15회 이상 무제한 환급이 가능합니다.
카드 발급 후 K-패스 누리집에서 회원 가입하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회원가입은 카드번호 입력과 본인인증을 거쳐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습니다.
환급은 월별로 자동으로 계산되어 청구할인, 계좌입금, 마일리지로 지급됩니다. 더 경기패스를 이용하면 교통비 부담을 덜고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